개발 관련/Agile

개발 관련/Agile

Agile_process 3. Daily_scrum & pair-programming

스프린트에 돌입했을 때, 무엇을 해야하는가 Sprint-Backlog대로 개발을 하면 되는데, 그냥 하면 되는걸까요? 앞선 과정을 거치고 개발을 진행한다고 Agile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Agile의 꽃은, Agile한 마음가짐과 태도. 라고 생각한다. Agile한 태도가 무엇인가? 아래는 공격성의 진화 시뮬레이터에 관한 영상입니다. 이게 무슨 상관인가 싶지만, 조직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 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모두가 이타적일 때, 조직은 가장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이기적인 몇이 존재할 때, 이기적인 사람들만 큰 이득을 본다. => 이기적인 사람들의 비율이 늘어나고 조직은 손해를 본다. 모두가 이기적일 때, 조직은 생존할 수 없다. 모두 착하게 살면, 법이 필요가 없었겠..

개발 관련/Agile

Agile_process 2. rlease & sprint Planning

개발 항목(Back-log) 작성 후, 일정 관리 개발 일정을 어떻게 지정할까? 너무 짧아도, 너무 길어도 문제가 발생한다. 적절한 일정은 어떻게 정할 수 있을까? 스토리 포인트 스프린트 길이 및 완료 조건 팀의 속도 분석 위의 세 가지를 고려한다. 위의 세 가지에 대해선 마저 알아보도록 하자! 스토리 포인트(Story-point) 스토리 포인트란 무엇인가? User-story를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단위. A_story_point : 4 / B_story_point : 8이라고 하였을 때, 4일, 4시간, 4달 이런 단위가 아닌 새로운 단위이다. 즉, B_story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A_story의 2배일 것이라 추측하는 것. 플래닝 포커(Planning-pocker) 스토리 포인트를 측정..

개발 관련/Agile

Agile_process 1. User_story

Agile의 시작, User_story 개발해야 할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정의. 각각의 스토리를 하나의 기능만을 표현하도록 작성. "누가", "무엇을", "어떤 이유로" 원하는가에 대해 짧고 정확하게 기술. Notion을 예시로 User-story를 만들어보자! 아래와 같이 check-box 기능을 활용하여서, habit-tracker나 일정관리에 사용을 한다. 릴리즈를 가정하고, 개선안을 만들어 user-story와 backlog를 만들어 보자. check-box 기능을 활용하여서, 주간 일정을 만들 수 있어서 너무 좋다! 하지만, 일주일 마다 check-box를 풀고 텍스트를 일일이 지우기 너무 귀찮아... 방법이 없을까...? 개선안 영역 초기화 버튼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미리 영역을 지정..

개발 관련/Agile

Agile(애자일)

Agile(애자일)? 애자일이란 무엇일까? SW 개발 방식이다. 개발 방식이 공부까지 할 정도로 중요한가? 라는 생각에는 링컨의 구절이 떠오른다. 나무를 베는데 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도끼를 가는데 45분을 쓰겠다. - Abraham Lincoln 개발 역량도 중요하지만, 그 만큼 중요한 것이 개발을 어떻게 할까? 이다. 방법론의 종류 1. 상품-중심적 방법 상품의 output을 테스트하고, 필요하면 공장에 수정사항을 요청하였다. 자동차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 버린다. 상당히 비효율적인 방식이다. 2. 과정-중심적 방법 예전과 같이 제품에 대한 output 테스트는 여전히 진행한다. 추가적으로, 과정중에 있는 요소를 측정한다. 계획에 문제 있는지 확인 일하는 사람들의 업무여건, 출결 사항, 공부 확인..

코딩 악귀
'개발 관련/Agile'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