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Spring boot] @Value 어노테이션으로 application.properties의 값 가져오기
@Value Spring boot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 중 하나로, 빈(Bean) 생성 시점에 값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로 개발하면서 application.properties에 설정한 값들을 가져오기 위하여 사용되고, 개발하는
olrlobt.tistory.com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환경변수 파일(application.yml) local, dev, prod 환경 분리
[Spring Boot] 환경변수 파일(application.yml) local, dev, prod 환경 분리 스프링 부트에서 로컬(local), 개발(dev), 운영(prod) 등의 환경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profile을 활용해 설정 정보를 분리할 수 있다. profil
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
[Springboot] 배포 환경 별로 설정파일 분리하기(feat. gradle)
설정 파일 분리 삽질기록
velog.io
[Spring Boot] Gradle을 이용한 Profile(개발/운영) 구분 설정
[Spring Boot] Gradle을 이용한 Profile(개발/운영) 구분 설정 개발환경 Eclipse IDE 2022-06 Spring Boot 3.0.0 Gradle 7.0 Lombok PostgreSQL 프로젝트 개발 시 실제 개발과 운영의 환경은 다를 가능성이 높다. 보다 안전한
jiurinie.tistory.com
[스프링부트] Gradle 에서 프로퍼티 / YAML / application 중복 오류 해결하기
항상 메이븐만 쓰다가 그래들 환경으로 프로그래밍 하려니 새로운 걸 자주 접하게 되서 재밌다. 스프링부트에서 application 을 프로파일 환경에 맞게 가져올 때 공통으로 사용할 기본 application 이
derveljunit.tistory.com
과정


그리고 다음과 같이 입력을 준다.
./gradlew build -Pprofile=prod
피드백
- 반복적이고 귀찮은 작업을 단순화 할 방법을 항상 고민할 것.
- 보통 이런 것들은 해결책이 있기 마련이다.
'프로젝트 > Beatn-beat [비튼 - 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Springboot3 + Stomp (0) | 2024.03.08 |
---|---|
14. EC2 + Route53 배포 (0) | 2024.02.17 |
13. S3 bucket에 Image 위임하기 (0) | 2024.02.15 |
12. Nginx로 같은 host에서 운영하기 (0) | 2024.02.14 |
11. 인증과의 전쟁 (0) | 2024.02.12 |